ログイン
会員登録
In praise of Idleness
https://hunuook.kishe.com/12332
検索
비버
挑戦履歴
이거 하나는 깨달은 것 같다
창의력이 중요하다는 말은 다들 들을거야. 기업에서나, 교육에서나.
그런데 이밤에 안자고 있더니 불현듯 무언가가 떠올랐어.
창의력이 중요한건 맞아. 그러나 특히기업에서 원하는 창의적인 인재상에는 생략된 무언가가 붙어
(말 잘듣는) 창의적인 인재
사실 여기서 핵심은 가로안인것 같아.
밖이 아니구. 위 문장을 제대로 해석하면 이거 같아.
말 잘듣는사람이 창의적이기도 하면 좋다.
노골적으로 이거야.특히 우리나라 기업에선...
이런생각 함부로 표현했다간 바로 골로갈거야, 한국에선. 난 이 사회에 대해 저렇게 느끼는게 여럿 더있어. 문제는 내가 룰을 만드는 사람이되기 전까진 어떠한 경우라도 참아야 하겠지.
내 생각을 용인해주고 응원해주는사람 밑에서 크고싶어. 종국에 내가 틀리더라도 난 누구도 원망하지 않아, 내자신만을 탓할뿐. 그러나 그기회정도 는 주어졌으면 해.
이렇듯 항상 진실의 대가는 써.
그렇긴해도 난 차라리 진실과 더불어미치겠어, 그리고 힘이 닿는 한은 해봐야지.
이건 다른이야기인데 나와같은 처지를 시스테마이저의 패러독스라고부르는 것도 좋을것 같다.
시스테마이저로 일찍 깨달은이들..시스테마이저라면 기존체제의 낡은부분이나 비합리적이 부분이 마음에 들지않을텐데, 오히려 그 시스템 속에서 자라야 시스테마이저로써의 길이 열리는, 그런 상황
暗号化
暗号を解読しました。
暗号化
暗号解読を失敗しました
2013-01-21
読み : 463
回答 :
0
回答登録
公開
秘密
回答登録
リストへ
비버
検索
ダイアリ一覧
In praise of Idleness
336
Atheism
3
アーカイブ
2014年
5
2014年 6月
2
2014年 2月
2
2014年 1月
1
2014年度すべてを見る
2013年
30
2013年12月
1
2013年 7月
1
2013年 6月
2
2013年 5月
2
2013年 4月
5
2013年 3月
7
2013年 2月
5
2013年 1月
7
2013年度すべてを見る
2012年
127
2012年12月
2
2012年11月
6
2012年10月
3
2012年 9月
6
2012年 8月
31
2012年 7月
20
2012年 6月
8
2012年 5月
1
2012年 4月
4
2012年 3月
14
2012年 2月
10
2012年 1月
22
2012年度すべてを見る
2011年
140
2011年12月
6
2011年11月
16
2011年10月
10
2011年 9月
6
2011年 8月
15
2011年 7月
16
2011年 6月
15
2011年 5月
13
2011年 4月
9
2011年 3月
9
2011年 2月
11
2011年 1月
14
2011年度すべてを見る
2010年
34
2010年12月
19
2010年11月
14
2010年10月
1
2010年度すべてを見る
hunuook
비버님 잘 지내시나요? 오랜만입니다
비버님 2학기 잘 보내고 계세요? ㅎㅎ 이제 곧 시험이
아뇨 한국에 잘~있답니다ㅋㅋ오랜만이네요
미국 가셨어요?
Everybody loves u :)
ㅎㅎ 저도 그래요.그래도 꿋꿋이 혼자 살아가고 있어요.
저도 복잡한 편인데 단순화시키려고 애를 쓴답니다.
좀 멋있다.
공감백배..
아뇨 이제 2학년 마쳤어요ㅋㅋ 미리 들어두면 나중에 편
設定
Kishe.com日記帳
ダイアリ一覧
In praise of Idleness
336
Atheism
3
ダイアリー
コミュニティトップ
自分の情報
그런데 이밤에 안자고 있더니 불현듯 무언가가 떠올랐어.
창의력이 중요한건 맞아. 그러나 특히기업에서 원하는 창의적인 인재상에는 생략된 무언가가 붙어
(말 잘듣는) 창의적인 인재
사실 여기서 핵심은 가로안인것 같아.
밖이 아니구. 위 문장을 제대로 해석하면 이거 같아.
말 잘듣는사람이 창의적이기도 하면 좋다.
노골적으로 이거야.특히 우리나라 기업에선...
이런생각 함부로 표현했다간 바로 골로갈거야, 한국에선. 난 이 사회에 대해 저렇게 느끼는게 여럿 더있어. 문제는 내가 룰을 만드는 사람이되기 전까진 어떠한 경우라도 참아야 하겠지.
내 생각을 용인해주고 응원해주는사람 밑에서 크고싶어. 종국에 내가 틀리더라도 난 누구도 원망하지 않아, 내자신만을 탓할뿐. 그러나 그기회정도 는 주어졌으면 해.
이렇듯 항상 진실의 대가는 써.
그렇긴해도 난 차라리 진실과 더불어미치겠어, 그리고 힘이 닿는 한은 해봐야지.
이건 다른이야기인데 나와같은 처지를 시스테마이저의 패러독스라고부르는 것도 좋을것 같다.
시스테마이저로 일찍 깨달은이들..시스테마이저라면 기존체제의 낡은부분이나 비합리적이 부분이 마음에 들지않을텐데, 오히려 그 시스템 속에서 자라야 시스테마이저로써의 길이 열리는, 그런 상황